GitHub ID : soohyun-dev
윤수현의 개발 공간
GitHub ID : soohyun-dev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918)
    • 성장기록 (49)
      • 성장기록 (3)
      • 우아한테크코스 (16)
      • 프로젝트 (15)
      • TIL (14)
      • 테오의 스프린트 (1)
    • 프로그래밍언어 (88)
      • C언어 (14)
      • HTML\CSS (12)
      • JavaScript (7)
      • React (23)
      • Python (11)
      • JAVA (14)
      • TypeScript (6)
    • 알고리즘 공부 (736)
      • 코드업 - 파이썬 (108)
      • 백준 - 파이썬 (468)
      • 백준 - 자바스크립트 (125)
      • 프로그래머스 - 파이썬 (1)
      • 프로그래머스 - 자바스크립트 (34)
    • 책 리뷰 (9)
      • 프로그래밍 (3)
      • 독서 (6)
    • 전자기기 (1)
    • 일상, 일기 (18)
    • 기술 세미나 (2)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공지사항

인기 글

태그

  • 독해
  • 자바스크립트
  • 백준
  • 코테
  • 파이썬
  • 영어독해
  • 프론트엔드
  • PYTHON
  • 코딩테스트
  • 프로그래머스풀이
  • 프로그래밍언어
  • 영어
  • javascript
  • 프로그래머스
  • 코드업파이썬
  • 백준파이썬
  • 프로그래머스자바스크립트
  • 코딩
  • 코드업
  • 백준풀이

최근 댓글

최근 글

티스토리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GitHub ID : soohyun-dev

윤수현의 개발 공간

HTML/CSS - position 이란?
프로그래밍언어/HTML\CSS

HTML/CSS - position 이란?

2022. 1. 12. 16:07

HTML/CSS - position 이란?

 

 

 

 

 

CSS 에서 중요한 속성인 position 에 대해 알아보자.

 

position은 말 그대로 화면에 어떻게 배치할지를 정해주는 요소 이다.

 

우리가 이 position 요소에 배치에 대한 속성값을 주는 것을 포지셔닝이라 한다.

 

 

기본적으로 HTML 요소들은 position : static 속성을 기본적으로 갖는다.

 

position : staic 은 원래 있어야하는 위치에 그대로 배치하는 것으로 

 

포지셔닝이 안되어있다고 말한다.

 

 

그렇다면, 포지셔닝이 되어있다라는 것은 무엇을 말할까?

 

 

포지셔닝에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다.

 

relative

fixed

absolute

sticky

 

이렇게 있는데 하나씩 봐보자.

 

 

 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 

 

1. position : relative; 

 

우선 relative는 원래있어야하는 곳을 기준으로 배치를 한다.

 

예를 들어 padding: 50px; margin: 30px; 을 준다고 하였을때, 

 

이 padding 과 margin 을 주는 기준요소는 원래 있어야하는 staic을 기준으로 움직이게 된다.

 

 

 

 

2. position : fixed; 

 

 

fixed 는 말그대로 고정된 값을 가진다.

 

이는 스크롤을 내렸을때도 고정되어있으며,

 

 

 

 

 

↓

 

 

 

 

 

 

이렇게 스크롤을 내려도 그 자리에 고정되어있다. (header 값에 position : fixed; 속성을 주었다.)

 

예시와 같이 navigation bar에 가장 많이 쓰인다.

 

fixed는 요소들에 기준을 주지 않고 웹브라우저 창에 기준을 준다.

 

그러므로 다른 요소들과는 별개로 배치를 가진다.

 

주의 할 것은 다른요소들과 배치가 별개로 들어가므로 navigation 에 속성값을 주게되면 navigation 뒤로도 요소들이 배치되어 육안으로 안보이게 될 수도 있다는 점을 알아두자.

 

 

 

3. position : absolute;

 

absolute 속성은 가장 가까이에 포지셔닝 되어있는 부모 요소를 기준으로 배치된다.

 

앞에서 설명했던것처럼 staic 속성값을 가진 요소들은 포지셔닝이 되어있지 않다 라고 간주하여 기준이 될 수 없다.

 

기준이 되는 속성값은 relative, fixed, absolute, sticky 이다.

 

가장 가까운 부모요소중에 이 포지셔닝 값이 되어있는 요소를 기준으로 배치를 하게 된다.

 

 

 

4. position : sticky;

 

 

sticky 포지셔닝은 기준점내에서는 relative 의 속성과 비슷하게 작용하지만, 기준을 벗어나면 fixed 와 같은 속성을 가진다.

 

fixed 와 의 차이점은 fixed 는 브라우저를 기준으로 작용하지만, sticky는 scroll 박스를 기준으로 작용한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반응형

'프로그래밍언어 > HTML\CS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HTML/CSS - display 란 ?  (0) 2022.01.13
HTML/CSS - 시맨틱(Semantic) 태그란?  (0) 2022.01.12
HTML/CSS - meta 태그란?  (0) 2022.01.11
DOCTYPE 이란 무엇인가요?  (0) 2022.01.07
CSS - flexbox 연습 게임  (0) 2022.01.06
    '프로그래밍언어/HTML\CS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  • HTML/CSS - display 란 ?
    • HTML/CSS - 시맨틱(Semantic) 태그란?
    • HTML/CSS - meta 태그란?
    • DOCTYPE 이란 무엇인가요?
    GitHub ID : soohyun-dev
    GitHub ID : soohyun-dev
    환영합니다!😊 이곳은 저의 개발에 관한 내용들을 정리하는 공간입니다. 알고리즘 풀이에도 관심이 많아요. 좋은 하루 되세요~! github : soohyun_dev

    티스토리툴바